한 보름 정도 30분 정도씩 '소셜미디어로 통하라 SNS 전략' 이러닝을 수료했다. 뭔가 뿌듯;ㅋ 가장 기억에 남는게 혁신적 소통전략 수립방법론인 인테레뱅이다. 물음표에 느낌표를 더한 부호였는데 강렬했다.
그리고 기업소셜미디어 활용방법과 궁금했던 부분인 소셜미디어 효과/성과 측정 방법이다. 대체적으로는 일단 눈에 보이는 댓글수, 방문자수, 좋아요, 리트윗수, 공유수 등으로 파악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은 설문조사 등으로 분석해 내는 듯 싶다. 아래 내용 참고
지나치게 단기 중심적, 데이터 중심적인 성과 측정 방법은 바람직 하지 못하며 초기에 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지표(KPI)를 잘수립 하는것이 중요. 단순히 트위터의 팔로어 수가 많거나 페이스북의 팬이 많다고 해서 영향력 있는 소셜미디어 라고 할 수없기 때문에 기업 내부적으로의 기준을 가지고 단기적과 장기적 차원에서 소셜미디어 효과 측정 방법을 모색할 필요.
먼저우리회사트위터의트윗들이얼마나클릭되었는지, 리트윗되었는지, hashtag가얼마나사용되었는지의수를수량화하고얼마나많은사람들이그활동영역에관계되어있는지살펴봐야함
.
페이스북: 페이스북홍보페이지의주소가얼마나많이클릭되었는지, ‘like’ 되었는지,답변이달렸는지를체크
.
유튜브: 비디오에달린댓글수를체크하고고객평가, 퍼간수치그리고구독자의수를측정
.
블로그: 댓글과구독자들의수, 퍼간수와게시물을어디로퍼갔는지를기록하고기업블로그에대한트래픽, 트랙백, RSS 구독수등을측정
일단은 방문자 수와 댓글 수, LIKE HIT 수 등이 될 수 있을 것같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에 그치지 않고, 고객들이 실질적으로 반응하게 함으로써 성과를 측정함. 예를 들어, 특정상품 구매 또는 이벤트를 시행했을 때 어느경로를 통해 그러한 내용을 알고 접속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소셜/매스미디어 채널별 영향력을 특정할 수 있을 것임.
리트윗, 인용 회수, 전파 속도 등수치 측정과 병행하여 기업이나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친밀도, 충성도 등에 대한 측정 지표
그 외 계속 고객과 SNS로 소통하기 위해 혁신하고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고 새로운 방향을 찾는 등 창조적인 부분에도 이러닝은 많은 초점을 맞췄다.